[기고] 역세권 재생의 새로운 패러다임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이석환 경성대 도시공학과 교수 부산시 선도지역 총괄계획가

쇠퇴한 도시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하 도시재생특별법)이 지난해 시행됐다. 이 법률이 추구하는 도시재생의 실천 원칙은 모두 일곱 가지로 요약된다. △주민과 시민의 참여 △관련 주체 간의 수평적 의사소통 △관련 부처 및 부서 간 협업에 의한 공공의 지원 강화 △종합적 개선을 통한 도시의 활력 회복 △유·무형의 지역 자산 활용 △장소 중심 관련 사업의 연계를 통한 시너지 효과 △도시나 근린차원의 자생적 성장기반 구축 등이 바로 그것이다. 도시재생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도시재생사업의 실천 과정에 이 기본원칙을 담아야 할 것이다.

부산시는 도시재생특별법 시행 이전부터 다양한 도시재생관련 사업들을 진행해 왔다. 이 법률 제정에도 참여했다. 서병수 부산시장이 국회의원 시절 도시재생특별법을 대표발의한 것도 이와 맥을 같이한다. 부산의 주민, 전문가, 공무원이 함께 참여하는 도시재생대학도 운영해 왔다. 그 결과 부산시는 지난 4월 도시경제기반형 선도지역으로 선정됐다.

부산지역에선 우선 공간적·기능적으로 분리된 역세권의 지역 간 상호 보완관계가 회복돼야 한다. 부산역의 경우 역사와 철길을 중심으로 전면부와 후면부가 공간적·기능적으로 양분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공간 분리는 기능 분리를 유발해 상호 시너지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부산역 일대 원도심은 도시 확산과 북항 항만산업의 부산신항 이전으로 공동화가 심화되고 있다. 부산시는 도시재생 선도지역 전체를 하나의 창조경제플랫폼으로 조성하는 활성화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부산역을 중심으로 하는 원도심 관문지역은 창조지식플랫폼, 원도심 상업지역은 문화관광 플랫폼, 원도심 주거지역은 생활복지 플랫폼으로 구축하자는 것이다.

원도심 관문지역의 창조지식플랫폼에는 공공자본에 의한 공공성을 확보함으로써 그 주변지역의 민간투자 여건을 조성하자는 전략이다. 이는 민자역사 개발로 인한 지나친 상업화와 공공성 결여, 그리고 갈등이라는 문제에 대한 대안적 접근이다. 현재 1단계 북항재개발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향후 부산역 창조지식플랫폼에는 북항재개발지역과 원도심 상업지역을 동시에 살리는 기능이 들어서야 한다. 궁극적으로 부산역의 창조지식플랫폼은 창조계급들이 모여드는 창조산업공간이자 시민이 즐기고 관광객에게도 매력 있는 창조적 복합문화공간이 돼야 한다.

최근 부산시는 선도지역 전담추진팀과 주민과 시민, 전문가, 관련부서 등이 함께하는 사업추진협의회을 구성하는 등 도시재생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부산의 도시경제기반형 선도지역의 계획과 사업의 추진이 전국적으로도 소중하고 의미 있는 모델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또한 이 선도지역이 주민과 시민에게는 자긍심을 갖고 살고 싶은 곳, 방문객에게는 가보고 싶은 곳이 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