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차세대 전력반도체 시장 '도전장'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화합물 전력반도체. 아직은 국내 수요산업에서 대부분 수입산을 사용하고 있어 기술개발 및 지원 인프라가 필요하다. 부산시 제공

부산시가 차세대 전력반도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도전장을 내민다.

메모리에 편중된 국내 반도체 산업의 구조를 다변화하고, 중소기업이 많은 부산지역 산업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키워내겠다는 목표다.

부산시는 22일 차세대 전력반도체로 꼽히는 화합물 반도체를 중심으로 하는 대규모 기술개발(R&D) 및 연구기반 구축사업을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력반도체는 데이터를 처리·저장하는 기존의 메모리 반도체와 달리, 전력을 처리·조정하거나 에너지의 효율을 개선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반도체다.

에너지 효율 개선 용도 반도체
동남권 원자력단지 3만 3천㎡
2022년까지 산업 인프라 구축
신성장동력으로 일자리 창출


질화갈륨(GaN)과 실리콘카바이드(SiC) 기반의 화합물 전력반도체는 기존 실리콘 반도체에 비해 전력 손실이 낮아 차세대 전력반도체로 주목받고 있다.

또 스마트폰에서부터 태양전지 및 연료전지, 풍력발전, 각종 산업기기 및 수송기기, 가전제품, 조선, 전기자동차, 로봇 등 신규 수요가 발생하고 있고, 세계 시장규모 또한 지난해 300억 달러(약 30조 7천800억 원)에서 오는 2019년 400억 달러에 이르는 등 성장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다만 원가가 비싸기 때문에 생산 효율성을 높여 원가를 낮추는 기술 확보가 관건이다.

현재는 독일과 일본, 미국 등이 화합물 반도체 분야 선두주자로 관련 산업과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전력관리반도체(PMIC) 일부를 제외하면 전력 소자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부산시는 화합물 반도체 분야가 세계적으로 상용화 초기에 있는 만큼 예산을 서둘러 확보해 오는 2016년부터 사업에 본격 착수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이미 기장군 동남권 원자력의과학산업단지 내 3만 3천㎡ 부지를 확보하고, 오는 2022년까지 화합물 반도체 소자 및 모듈의 시제품 제작 지원센터를 비롯해 시험생산지원센터, 신뢰성 평가인증센터, 창업보육센터 등을 아우르는 전력반도체 산업 인프라를 구축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또 기술개발에 1천148억 원, 기반구축에 1천185억 원 등 국비와 시비, 반도체연구조합 민간자본 등 총 2천333억 원의 사업비가 들 것으로 추산하고, 이 중 국비만 1천840억 원을 차지하는 만큼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를 받을 수 있도록 산자부와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

차세대 전력반도체 기술개발 및 기반구축 사업은 현재 산자부의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 14개 중 하나로 선정됐으며, 내부 심의를 거쳐 이달 말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를 받을 예정이다.

시는 전력반도체 산업이 다품종 소량생산 체제로 운영되는 특성상 중소기업이 많은 동남권, 특히 부산에 적합하고 수요산업 또한 부산·울산·경남 지역에 산재해 있어 예비타당성조사를 무난히 통과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부산시 산업정책관실 관계자는 "국내에는 전력반도체 산업을 특화할 수 있는 공용 인프라시설이 아직 없고, 부산이 이 사업을 선도할 경우 조선기자재, 자동차부품 등 기존 주력산업과 연계한 신성장동력으로 발전할 수 있다"면서 "경남 창원의 한국전기연구원, 부산대학교 등 지역 산학연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우수한 기술력을 확보하고 지역 인재를 키워 일자리 창출로 연결하는 효과도 기대된다"고 밝혔다. 김경희 기자 miso@busan.com

전력반도체 (Power Management IC)란?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친환경자동차,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필수 기술로 여러 직접회로(IC)의 전압과 화면 상태 등을 복합적으로 제어하는 반도체다. 모바일기기나 배터리로 동작해야 하는 장비들이 최소한의 전력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때문에 배터리 구동시간을 늘리기 위해 많이 사용한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