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탈출] 예산 수덕사·추사고택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흔들리며 사는 게 삶… 추사·고암을 만났다

수덕사 대웅전은 수덕사의 모든 것이라 해도 틀리지 않다. 대웅전 측면 들보와 기둥의 면 분할은 누가 봐도 아름답다.

예산은 예절 바른 사람들의 땅이었다. 고려 태조 때다. 왕건은 그 땅에 예와 덕을 갖춘 백제 유민을 모았다. 백제부흥운동 거셌던 그 땅이 잠잠해지길 바라서였다. 그 땅은 이후 고려 예산현으로 불렸다. 그러나 백제의 흔적을 지울 순 없었다. 그 땅 서쪽 수덕사는 기어코 백제계 곡선미로 찬란했다.

예산은 살기 좋은 땅이었다. '택리지' 저자 이중환은 충청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땅을 내포라 했다. 가야산 둘레 열 고을이 내포였고 예산은 그중 한 고을이었다. 땅 기름졌으니 부자가 많았다. 영조의 부마도 그 땅에 향저(鄕邸)를 두고 살았다. 향저는 추사 김정희를 낳고 훗날 추사고택으로 개명했다.

수덕여관 암각화에 이응노의 자취
한글 자모 뒤엉킨 추상화서 발견한 삶의 의미
터가 센 추사고택 옆 김정희 무덤
삶의 철학 다졌을 추사 떠올려
옛 모습 잃은 수덕사, 대웅전에 마음 달래

수덕사와 추사고택은 무릇 이러하다. 그 땅의 아득한 이야기를 함성 지르듯 펼친다. 고건축 언저리를 맴도는 지극한 사랑은 덤이다. 그러나 그 덤이 가슴에 오래 밟힐 게다. 느닷없는 이별에 울음 눌러 울었을 수덕여관 박귀희 여사와 화순옹주. 시대 달랐어도 도대체가 한결같았던 그네의 그리움은 아름답다. 생각이 끊어진 자리에서 듣는 수덕사 목탁음은 그래서 깊은 그리움일지도 모르겠다.

■수덕사

'수덕사는 번거로운 도회지 생활에서 벗어나 늘 찾아가 보고 싶던 곳이었다.' 1989년 작고한 고암 이응노 화백은 어느 날 이렇게 고백했다. 수덕사는 그에게 정신적 고향이었다. 그는 홍성 출신이다.

수덕사는 정확한 창건 연대가 남아있지 않다. 그저 백제 위덕왕 시절로 짐작된다. 고려 공민왕 때 나옹화상이 중수했고 만공선사가 중창했다는 사실만 확실할 뿐이다.

수덕사의 백미는 대웅전이다. 1937년 해체 작업 중 1308년 세웠다는 묵서명이 발견됐다. 고려시대 목조건물인 셈. 그 무렵, 옛 백제 땅을 중심으로 백제문화운동이 일었고 대웅전은 고려시대 것임에도 백제 것의 우아함이 담겼단다. 문화해설사 송애순 씨 설명이다. 우선 'ㅅ'자 맞배지붕은 단정하고 간결하고 힘차다. 허리 살짝 부푼 배흘림기둥과 곡선이 살아있는 공포는 아름답다. 문득 떠오른 한 건축가의 말. '건축 부재는 아름다움이 목적이 아니라 쓰임새의 결과로 아름다울 뿐이다.' 대웅전 측면과 후면은 정면과 사뭇 다른 분위기다. 뭐랄까, 정면이 옷 여민 엄숙함이라면, 측면과 후면은 단추 푼 편안함이랄까. 기둥과 들보가 이음과 맞춤으로 서로에게 의지해 완전한 면분할을 선사한다. 목탁소리 들으며 한참을 붙들렸다.

수덕사는 옛모습을 많이 잃었다. 중창불사가 과해서라 했다.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은 '망가졌다' 했다. 그런데도 수덕사를 무한대로 사랑한다 했다. '으리으리한 사찰로, 화려의 극을 달리고 돈 냄새 물씬 풍겨 슬프지만 아무리 망가져도 거기에 대웅전 건물이 건재해서'다.

수덕사는 중창주 만공선사의 절이라 해도 과하지 않다. 수덕사 품은 덕숭산 중턱부터는 아예 '만공숲'이다. 수덕사 말사 정혜사, 산내 암자 견성암 모두가 그의 공 아닌 게 없다. 한 전각에 걸린 편액 '세계일화'는 그의 글씨다. 해방 소식 듣고 무궁화꽃에 먹을 묻혀 썼다. 세상은 한 송이 꽃. 너와 네가 둘이 아니다.

수덕사 일주문 왼쪽 숲에 터 잡은 수덕여관은 지어진 시기가 불분명하다. 그러나 고암의 본부인 박귀희 여사에겐 전부였음은 분명하다. 고암이 1944년 여관 사들인 후 박 여사 두고 프랑스로 떠났을 때도, 고암이 1967년 동베를린 간첩단 사건(동백림사건)으로 옥고를 치를 때도, 고암이 옥살이 후 요양할 때도 박 여사는 여관과 고암을 돌봤다. 박 여사의 곡진한 챙김에도 고암은 다시 파리로 떠났다. 짧았던 봄날 붙들고 여관 지킨 박 여사는 2001년 눈을 감았다. 고암이 수덕여관 요양 시절 앞뜰에 암각화를 남겼다. 한글 자모 뒤엉킨 듯한 추상화였다. 고암은 "이게 사람 살아가는 모습"이라고 했단다. 하긴 엉키지 않은 삶이 어디 흔한가. 그래서 산다는 건 흔들리면서 살아간다는 것이 아닐는지. 참, 수덕여관은 경매에 붙여져 지금은 수덕사 문화 전시공간으로 쓰인다.

■추사고택

추사 생가인 추사고택은 권위적이다. 입구에서부터 솟을대문이 우뚝 섰다. 집채와 뜰을 오르내리려면 돌층계를 밟아야 한다. 일종의 격절이다. 안채도 다르지 않다. 마당과 마루의 높낮이가 심하다. 신분 나눈 조치였다. "마루에서 마당 쪽을 내려 보시죠." 문화해설사 박순병 씨가 마당에 서고 기자는 마루에서 그를 굽어봤다. 부리는 자와 부림을 받는자의 시선이 확연하다.

조선 명문가의 한옥 맛을 느낄 수 있는 추사고택.
추사고택의 이같은 속성은 어쩌면 당연하다. 추사 집안은 안동 김씨, 풍양 조씨와 더불어 조선후기 대표적인 명문가였다. 그들에게 권위는 낯선 것이 아니었다. 더구나 추사고택은 부마의 집이었다. 추사 증조부 김한신은 영조 둘째 딸 화순옹주와 결혼했다. 영조는 김한신을 월성위로 봉했고 서울 월성위궁과 함께 예산 땅에 향저를 하사했다. 향저는 처음엔 53칸짜리였고 충청도 53개 고을이 한 칸씩 부조해서 지었다. 이 향저가 추사고택이다. 향저는 1960년대 개축 후 36칸 반으로 축소됐다.

추사는 후사 없던 큰아버지의 양자로 입양돼 8살 때부터 월성위궁에서 생활했다. 터가 셌던 모양이다. 부인, 모친, 조부가 잇달아 죽어 나갔고 어려서부터 상복을 걸쳤다. "생각이 깊어지고 삶의 철학이 단단해졌겠죠. 유뱃길 견디며 추사체를 완성시킨 힘의 원천이었을지도 모르겠습니다."(문화해설사)

사랑채에 '세한도' 모사품이 걸렸다. 제주도 유배 시절 의리 저버리지 않은 제자 이상적에게 건넨 그림이다. 그건 산수화가 아니라 뜻 그림이었다. 세한도에 찍은 낙관은 '장무상망(長毋相忘)'이다. 오래도록 서로 잊지 말자. 34세 때 문과 급제 후 10년간 승승장구했고 급제했을 때 임금이 '기쁘고 기쁘고 또 기쁜 일'이라 격려받았던 추사. 내침이 더 아팠을 추사에게 제자의 마음 씀씀이는 더 고마웠을 테다.

추사의 추사고택 애정은 각별했다. 세상에서 버려지면 추사고택에서 추스렸고 쓰이면 한양으로 갔다. 추사고택은 일찍 사별한 어머니의 품이었다. 추사는 추사고택 왼쪽에 묻혔다

추사고택 근처에 증조부모의 합장묘가 보인다. 김한신이 죽자 화순옹주는 상념이 깊었다. 14일간 곡기를 끊었다. 그리고 남편을 따랐다. 화순옹주는 조선 왕실 최초로 열녀문을 하사받았다. 열녀문을 내린 임금은 아버지 영조가 아니라 정조였다. 영조에게 화순옹주는 아무리 딸이라 해도 음식 들라는 왕명을 거역한 불충한 딸이었다.

거기서 멀지 않은 곳에 예산백송이 땅속 깊숙이 뿌리를 내리고 있다. 추사가 24세 때 청나라에서 씨앗을 가져와 고조부 묘 앞에 심어 자란 백송이다. 수령은 200년을 넘었다. 껍질이 유독 하얗다. 백송은 40년이 지나야 제 빛을 낸단다. 견디고 또 견디라, 닦고 또 닦으라. 백송의 뜻이 참으로 귀하다.

글·사진=임태섭 기자 tslim@busan.com


TIP

■둘러볼 곳

한국고건축박물관(041-337-5877·사진)은 한국 건축 미학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박물관이다. 1998년 전흥수 대목장이 건립. 국보급과 보물급 고건축문화재를 축소 제작. 남대문, 부석사 조사당, 무위사 극락전, 부석사 무량수전, 수덕사 대웅전 등 30여 점 전시. 수덕사 방문 전에 들러보길 권한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하지 않는가. 해설은 꼭 들어보시라. 기둥, 공포, 지붕 얘기만으로도 귀가 풍요롭다. 예당관광지(041-339-8281~4)는 예산의 대표적인 관광지다. 사시사철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예당저수지의 경관미가 쏠쏠하다. 물안개 피면 탄성이 절로 난다. 둘레길은 드라이브하기 괜찮은 코스. 조각공원과 야영장도 있다.
■교통

자가용:대구부산고속도로(동대구JC)~경부고속도로(회덕JC)~호남고속도로지선(유성JC)~당진영덕고속도로(예산수덕사IC)~면허시험장사거리(충남도청 방면 좌회전)~임성교차로(서천 방면 좌회전)~수덕사교차로(수덕사 방면 좌회전)~수덕사. 4시간 10분 안팎.

대중교통:부산종합버스터미널(1577-9956)에서 대전복합터미널(1577-2259)로 가는 고속버스는 오전 8시~오후 7시, 2시간 간격, 3시간 10분 걸림, 2만 3천300원. 대전복합터미널에서 예산시외버스터미널로 가는 시외버스는 오전 6시 40분~오후 7시 55분 운행하며, 1시간 10분~2시간 40분 간격, 1시간 20분 걸림, 6천500원. 예산시외버스터미널에서 수덕사나 추사고택으로 갈 때는 예산교통(041-332-7494) 또는 예산군관광안내소(041-339-8930) 문의. 1천300원.

■자고 먹을 곳

봉수산자연휴양림(041-339-8937~8)은 예당저수지를 내려보는 전망이 좋다. 물놀이장을 갖췄다. 성수기 주말 요금 5인실 6만 원. 추사고택에서 가까운 음식점으로 '상숙이네쭈꾸미'(041-335-0652)가 있다. 현지 사람들이 많이 찾는 집 중 하나. 쭈꾸미 철판 중간 것 3만 원.

임태섭 기자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