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시·군 '별난 부서'] 울산 남구 고래특구계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장생포 제2의 도약' 일등공신

전국 유일의 고래문화특구를 책임지는 울산 남구청 고래특구계 4인방인 김병국(왼쪽부터), 김성자 주무관, 조동래 계장, 송성원 주무관이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권승혁 기자

'고래도시' 울산에는 고대 고래잡이 모습이 새겨진 반구대암각화(국보 제285호)와 울산 귀신고래 회유해면(천연기념물 제126호), 고래잡이 전초기지였던 장생포에 이르기까지 고래와 관련된 모든 게 있다.

특히 남구에는 전국 유일한 고래문화특구를 비롯해 고래생태체험관, 고래박물관 등 볼거리, 먹거리, 즐길 거리가 넘쳐난다. 이처럼 '고래산업의 메카' 울산의 명성을 이어가는 데는 남구청 고래특구계의 역할이 컸다. 고래특구계는 조동래 계장(6급)과 김성자(7급·여), 송성원(7급), 김병국(8급) 주무관 등 4인방이 이끌어간다.


'고래산업의 메카' 명성 찾고자 신설
체험관·크루즈선 등 인프라 구축 주도
"우여곡절 끝 고래문화마을 조성 보람"

고래특구계는 장생포와 고래의 인연에 바탕을 두고 신설됐다. 남구는 지난 2005년 국내에서 처음 고래박물관을 건립하는 등 고래관광산업에 사활을 걸었다. 한 때 '개도 만 원짜리를 물고 다닌다'던 부촌 장생포를 다시 살려보자는 의도였다. 이후 장생포에는 지난 2008년 고래문화특구가 생기고 고래생태체험관, 고래관광크루즈선 등 고래관광 인프라가 하나, 둘 자리 잡았다. 2009년 7월 신설한 고래특구계는 이런 고래 관련 인프라가 유기적으로 진행되도록 역할을 한다. 장생포 제2의 도약을 이끄는데 일등공신인 셈이다.

우여곡절도 많았다. 가장 힘든 시련은 얼마 전 아기 돌고래 '장생이'의 안타까운 죽음이었다. 올해 1월 장생포 고래생태체험관의 큰돌고래 장꽃분(15)의 임신 소식은 큰 경사였다. 수족관에서 새끼 돌고래의 탄생은 드문 일인 만큼 남구를 비롯해 전국적으로 관심이 집중됐다. 남구는 꽃분이가 순산할 수 있도록 극진히 돌봤지만, 장생이는 태어난지 사흘 만인 지난달 7일 급성폐렴으로 폐사했다.

기대가 크면 실망도 큰 법일까. 비난의 화살은 남구로 날아들었고, 수족관의 돌고래를 모두 자연으로 돌려보내라는 시민단체의 거센 항의도 받았다. 조 계장은 "장생이의 죽음은 우리 부서뿐만 아니라 전 시민이 함께 슬퍼했던 일"이라며 "남구가 돌고래를 키우는 것은 시민들이 고래와 더욱 친숙해질 수 있는 기회를 만들고 아이들에게 교육의 장을 마련하는 것인 만큼 폭넓은 이해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역점사업인 장생포 내 고래문화마을 조성공사와 관련해 일부 주민이 "전셋값도 안된다"며 보상을 거부, 갈등을 겪기도 했다.

고래문화마을 조성공사가 차질을 빚기 직전 해결의 실마리를 찾은 이는 이 부서 차석인 김성자 주무관이었다.

김 주무관은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고민한 끝에 민원인이 살 집을 직접 찾아나선 덕분에 원활하게 보상합의를 이끌어 낼 수 있었다"고 말했다. 고래특구계의 발로 뛰는 노력으로 남구는 명실상부 고래관광의 중심지로 안정기를 맞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10월말 기준으로 장생포 고래문화특구를 찾은 방문객은 58만 2천404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2년 같은 기간 47만 4천773명에 비해 22.7%(10만 7천631명)가 늘어난 수치다.

권승혁 기자 gsh0905@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