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사학'은 어떻게 뿌리내렸나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식민사학이 지배하는 한국고대사 / 이희진

식민사관이란 태생부터 어떤 실체가 있는 역사관이 아니라, 철저히 권력에 복종하고 현실과 야합하는 반역사적 태도를 학문의 이름으로 포장한 것에 불과하다고 저자는 말한다. 사진은 경남 김해시 주촌면 망덕리 고분군에서 출토된 오리 모양 토기와 뿔잔. 부산일보 DB

가야사나 독도, 일본군 강제위안부 문제 등 한·일 관계 역사와 관련된 이야기만 나오면 흔히 거론되는 게 하나 있다. 바로 올바른 역사인식과 함께 식민사학이다. 그렇다면 식민사학이란 도대체 뭔가? 식민사학은 근대에 들어 일본의 식민지배를 정당화하기 위해 만들어낸 역사학이다. 나아가 한반도 지배를 위해 조작된 일본 역사학계의 논리를 근거도 없이, 또는 억지 근거를 만들어 쫓아가는 것을 말함이다.

이런 이야기를 하면, 많은 사람은 의아해할지도 모르겠다. 해방된 대한민국에 어떻게 식민사학이 남아 있을 수 있겠느냐는 것. 현재의 대한민국은 일본의 식민지가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우리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아직 식민사학에 추종하는 자들이 지성의 전당이라는 대학을 장악하고 있고, 또 그들의 영향력이 고대사학계에서 무시 못할 존재로 여전히 이어져 오고 때문이다.

처음 배운 정보에 집착해 추종
학계 기득권 차지해 관료와 야합


식민사학이 지배하는 한국고대사 / 이희진
이쯤 되면 의문이 들 것이다. 그들은 무엇 때문에 식민사학에 집착하는지, 어떻게 그런 사람들의 세력이 지금까지 유지될 수 있었는지.

'식민사학이 지배하는 한국고대사'는 바로 이런 의문과 한국 고대사학계에 남은 식민사학의 잔재를 파헤쳤다. 저자의 표현은 적나라하다. '복마전', '지식사기', '깡패짓' '정치의 앞잡이'는 물론이고 '패거리' '꼴통'과 같은 용어도 심심잖게 등장한다.

저자는 먼저 일본제국주의의 마수에서 벗어난 대한민국 사회에까지 식민사학이 어떻게 뿌리박게 되었는지부터 얘기한다. 저자의 말은 이렇다. "새가 알에서 깨어날 때 사람 소리가 들리면 평생 그 사람을 따라다니듯이 인간 역시 맨 처음 알게 된 정보에 집착하는 점에서 다를 바가 없다. 식민사학 추종자들에게도 바로 이 점이 적용된다."

하지만 문제의 심각성은 "대한민국에 식민사학의 씨앗을 뿌렸거나, 지금 뿌리고 있는 사람들 자신은 스스로를 식민사학의 추종자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데 있다고 주장한다. 배운 것이 세상 진리의 전부인 줄 아는 버릇이 자기도 모르게 나온 것이라고 할 수 있지만, 너무도 무 비판적이라는 것이다.

책에서는 이들 식민사학 추종자들에게 연구 기금과 학회지 발간 및 활동비를 지원하는 관료들이 결국 이들과 야합하게 되는 과정도 낱낱이 고발한다. 국민의 혈세가 무사안일과 출세주위에 물든 관료들의 손을 통해 학계 기득권 세력에게 선심 쓰듯 뿌려지는 모습은 충격적이다. 명백한 증거도 없이 식민사학자들이 벌인 '백제 깎아내리기'도 어처구니없다.

결국, 이러한 식민사관이 아직 청산되지 못하고 오히려 뿌리를 더 깊이 박고 가지를 쳐서 학계에서 큰소리를 치는 주류로 성장한 것에 대해 저자는 "대한민국 사회의 병리현상을 바로 보여 주는 것"이라고 진단한다. 이희진 지음/책미래/256쪽/1만 4천 원.

정달식 기자 doso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