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시장 후보 "강서 땅 반환" 주민들 "뭔 소리"
6·4 지방선거가 70여 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부산 강서구의 경남 김해시 반환 문제를 놓고 갈등이 불거지고 있다.
발단은 김해시장에 출사표를 던진 여야 예비후보들이 김해 발전을 위해 강서구 반환을 추진하겠다고 앞다퉈 공약하면서 비롯됐다. 이들의 주장에 대해 강서구민들과 구청장 예비후보들은 "한마디로 시대에 역행하는 발상"이라며 맞서고 있다.
김해시 관할이던 강서구가 부산시로 편입됐던 1978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당시 김해시의 대저읍과 명지면이, 이어 1989년에는 가락면과 녹산면이 부산시에 편입됐다.
김해시장 예비후보들은 이번 기회에 강서구 반환이 관철되지 않을 경우 시민 서명운동이나 헌법소원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출마자들 앞다퉈 공약 추진
관철 안될 땐 서명운동 계획
주민 "시대 역행하는 발상"
구청장 출마자 "표심몰이용"
임용택 전 김해시의회 의장(새누리당)은 지난 13일 "김해시가 광역도시화되는데 부족한 부분이 관할 면적이 좁다는 것이다. 부산에 빼앗긴 땅을 찾아오겠다"고 밝혔다. 앞서 11일 허성곤 전 경남도 기획조정실장(새누리당)도 "일방적으로 행정구역이 개편되면서 빼앗긴 강서구 땅을 찾아와야 한다. 시장이 되면 시민 서명운동도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들 외에 무소속으로 출마할 예정인 이봉수 전 국민참여당 경남도당위원장 등도 "도시 발전을 위해 김해시와 강서구의 통합에 동의한다"며 힘을 보태고 나섰다.
이에 대해 강서구민들과 구청장 예비후보들은 "일고의 가치도 없는 얘기"라는 묵살하는 분위기다. 주민 박 모(41·강서구 명지동) 씨는 "부산·울산·경남을 아우르는 협의체 가동이 논의되는 마당에 김해시장 후보들의 주장은 시대착오적"이라고 말했다.
대저동에 사는 김 모(35·여) 씨도 "강서구는 부산시가 마지막으로 개발에 역점을 두고 있는 곳"이라며 "토지 소유자들은 강서구가 부산에 남길 원하지 '김해시 편입'이라는 과거 회귀를 원하겠느냐"고 덧붙였다.
구청장 출마를 선언한 예비후보들도 거들고 나섰다. 이병조 전 시의원(새누리당)는 "이미 30여 년 전에 끝난 사안을 이제 와서 공약으로 내거는 것은 표심을 노린 여론몰이"라며 "구가 군으로 전환됐을 때 교부금이나 사업비 비중이 높아지는 것도 사실이지만 이미 강서구로 안착된 지 오래돼 통합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밝혔다.
김문희 전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장(새누리당)도 "항만·항공 물류와 제조산업이 집적된 강서구의 성장동력은 이미 김해시 보다 앞선 상태"라며 "오히려 김해시가 부산으로 편입돼야 할 판"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강서구의 지역여론이 김해시와의 통합 반대에 힘이 쏠리면서 당분간 양 지자체간 마찰은 지방선거가 끝날 때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김현아 기자 srdfish@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