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루저 스케이트 보드 체험] 파도 타는 듯한 이 쾌감은? 서핑의 재미, 육상으로 진화하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스케이트 보드 전문 판매점 '스테일 피쉬' 김연수 매니저가 부산 사직운동장 실내경기장 입구 로비에서 크루저 스케이트 보드를 타며 애완견 테리와 함께 놀고 있다. 크루즈 보드는 한나절 정도면 배우고 탈 수 있다. 정종회 기자 jjh@

'지구는 역시 둥근가?' 한쪽 발을 살짝 밀자 크루저 스케이트 보드가 제 스스로 달려가듯이 앞으로 쭉 나아갔다. 아주 조금 밀었을 뿐인데 보드는 한참이나 움직였다. 바닥이 경사졌나? 아니었다. 사직운동장 실내경기장 앞 옥외 테라스는 평평했다. 보드에 달린 우레탄 바퀴 4개가 발로 미는 힘에 의해 부드럽게 구른 것이다. 보드는 좌우로 살짝살짝 춤을 추듯이 흔들리며 나아갔다.

■뭍으로 진화하다

크루저 스케이트 보드를 처음 보는 순간 어디서 많이 본 느낌이 확 왔다. 기억은 의외로 쉽게 확인됐다. 각종 스케이트 보드를 보급하고 판매하는 '스테일 피쉬' 고성일(32) 대표는 "미국 캘리포니아지역에서 서핑을 즐기던 젊은이들이 육상에서도 서핑의 재미를 지속하기 위해 만들어 탄 것이 시초"라고 설명했다. 뭇 생명이 바다에서 육지로 진화했듯이 스케이트 보드도 그런 모양이다.

재질·길이 따라 3가지 종류지만
마니아들은 자신에 맞게 직접 조립도
앞뒤로 주행하는 스케이트 보드와 달리
앞으로만 달리는 것이 크루저
청소년이라면 한나절에 습득 가능

■재질, 길이 따라 구분

보드는 크게 크루저 스케이트 보드, 스케이트 보드, 롱 (스케이트)보드 등 3가지로 구분한다. 그중 크루저는 재질에 따라 나무와 플라스틱으로 나누고, 길이에 따라 일반적인 것과 미니 보드로 구별한다. 통상 보드 길이가 27∼32인치이지만, 미니는 22∼26인치(제조사에 따라 조금씩 다름) 수준. 이와 달리 롱 보드는 36인치 이상으로 길다.

그러나 이 같은 길이 구분은 큰 의미가 없다는 것이 고 대표의 설명이다. 그 이유는 보드 마니아의 경우 데크와 바퀴 등을 직접 조립해 사용하는데, 자신의 키나 몸무게에 맞게 길이를 조정하기 때문이란다. 이 밖에 한때 어린이들에게 선풍적인 인기를 얻은, 앞뒤 데크가 따로 노는 '에스(S) 보드'도 있다.

크루저가 스케이트 보드보다 국내에는 늦게 소개돼 크루저를 나중에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크루저가 스케이트 보드의 원조라고 한다. 스케이트 보드가 처음 만들어졌을 때 미국 청소년들이 놀던 '바나나 보드'가 바로 크루저 보드다. 바나나는 보드의 제조사 이름이다.

■외줄을 탄다는 생각으로

보드를 처음 탄다고 하니 고 대표는 미니 대신 발판이 조금 더 넓고 긴 일반형 크루저를 내놓았다. "외줄을 탄다고 생각하세요. 가운데 있는 선이 밧줄이라고 생각하고 올라 서 보세요." 발판에는 굵은 줄이 하나 그어져 있었다. 초보자를 위해 선을 따로 그린 듯했다. 보드는 발판 위에 자기가 좋아하는 그림이나 사진, 만화 캐릭터 등을 새겨넣는 경우도 흔하다.

"크루저와 일반 스케이트 보드의 가장 큰 차이점은 사실 크기가 아니라 보드의 모양과 바퀴의 재질입니다." 고 대표가 말했다. 크루저는 앞뒤 구분이 명확하고 앞쪽으로만 나아갈 수 있다. 말 그대로 주행용이다. 반면 스케이트 보드는 앞뒤 모양이 거의 다르지 않아 두 방향으로 다 진행할 수 있다.
프로 스케이트 보드 선수인 고성일 씨가 알리 기술을 이용한 평균대 타기 시범을 보이고 있다. 정종회기자 이 때문에 크루저는 보드 마니아 입장에서 볼 때 심심한 놀이도구다. "주행 이외에는 특별히 재미를 느낄만한 요소가 없어요. 특히 길을 가다가 돌출된 턱이나 넓은 틈새를 만나도 뛰어오를 수 없지요."

바퀴는 우레탄으로 돼 있다. 그러나 강도에서 조금씩 차이가 난다. 크루저의 바퀴가 말랑말랑하다면, 일반 스케이트 보드는 크루저에 비해 크기가 작고 단단하다.

■레귤러와 구피풋

보드의 기본 동작은 발판 위에 올라 서는 것이다. 왼발을 먼저 올리면 '레귤러'(Regular), 오른발을 먼저 올리면 '구피풋'(Goofy-foot)이라고 부른다. 어느 쪽을 먼저 올리든 상관없지만 보통은 왼발이 앞선다. 왼발을 보드의 앞 볼트 부분에 올렸으면 무릎을 살짝 구부린 상태에서 폄과 동시에 오른발로 땅을 구르며 빠르게 올라탄다.

이때 두 발이 서로 가깝게 놓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가능하면 앞뒤 바퀴 위에 두 발이 놓이게 하는 것이 좋다. 뒷발은 보드의 진행 방향과 90도 각도로 만든 뒤 앞발을 조정해 뒷발과 '11' 모양이 되도록 한다. 양팔은 균형을 잡기 위해 벌리는 것이 좋다.

몸을 살짝 흔들면 진행성도 좋고 방향 전환도 잘 된다. 서핑보드처럼 일단 보드에 올라탄 뒤 방향을 바꾸는 것이 중요하다. 감각이 좋은 청소년이라면 한나절의 연습으로도 충분하다.

■한번에 성공한 주행

역시 좋은 스승을 만나야 하는 모양이다. 전국을 통틀어 50명 정도인 국내 프로 보드 선수 중 한 명이자, 중학교 때부터 보드가 좋아 서울~부산을 오가며 보드를 즐겼다는 18년 경력의 고 대표에게 배우니 주행이 단 한번에 이루어졌다. 물론 속력을 낼 정도는 아니었다. 초보자는 안전모와 무릎보호대 등 안전장구를 반드시 갖춰야 한다. 크루저 보드는 자전거처럼 한번만 배우면 그다음부터는 안정적으로 탈 수 있다.

고 대표와 함께 일하는 김연수(26) 매니저는 초보라고 자신을 소개했지만, 막상 보드에 올라타니 능숙했다. 강아지 '테리'와 함께 보드를 타기도 했다. 본격 겨울을 예고하는 듯 바람이 차가웠지만 서너 바퀴를 돌고 나니 땀이 훅 났다. 각종 기술을 구사하기 쉬운 스케이트 보드가 정답이겠지만 작은 플라스틱에 눈길이 자꾸 가는 것은 어쩔 수 없었다. 눈에 아름다워야 레포츠도 재미가 있으니까. 네 바퀴를 달고 함 달려볼까!

이재희 기자 jaehee@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