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물 방사능 공포 장기화… "정부가 불신 뿌리 뽑아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일본발 방사능 오염 공포로 수산물 소비 기피 현상이 장기화 국면에 접어들면서 수산업계 전반이 벼랑 끝으로 내몰렸다. 수산업계는 대통령이 직접 사태 진화에 나서는 등 정부가 더 늦기 전에 특단의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정부는 지난달 초 후쿠시마 현 등 8개 현의 수산물 수입을 전면 금지하는 등 수입규제를 강화했다. 뒤이어 정부와 지자체는 수산물 안전성 홍보 행사를 잇따라 열었다. 정부는 "일본산 수산물은 철저히 검사하고 있으며, 국내산 수산물은 해류와 어류 이동 등 과학적 데이터를 통해 볼 때 안전하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지난 7월 말 본격화 된 방사능 공포는 '약발'이 듣지 않고 장기화 조짐이다. 바닥에 넙적 엎드린 수산물 소비심리로 횟집과 전통시장은 막다른 골목에 다다랐고, 학교급식 등 유통 경로마저 경색돼 수산업계는 살얼음판을 걷고 있다.

일본산 원산지 위반 허술한 단속, 학교 급식도 위협
차단 약발 없어 소비심리 '꽁꽁' 특단의 대책 마련을

정부의 '사후약방문'을 탓하고만 있을 수 없는 수산업계는 "사태의 심각한 만큼 정부가 수산물 소비를 회복할 특단의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부산공동어시장 박수만 중도매인협회장은 "정부는 유통·생산업계에만 국내산 수산물의 안전성 홍보를 맡겨둘 게 아니다"며 "예산을 대폭 투입해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홍보와 캠페인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고등어를 잡는 선망업계 관계자는 "이제는 대통령이 직접 국민들 앞에서 수산물을 시식해 불신과 불안감의 뿌리를 뽑아야 한다"며 "정부가 그동안 눈치를 봤던 일본에 자료를 적극적으로 요구하고 강경하게 나가는 것도 무너진 정부의 신뢰와 소비 기피 심리를 역전시킬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고 말했다.

15일 열린 해양수산부 국감에서도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을 촉구하는 여야 국회의원들의 주문이 쏟아졌다.

새누리당 경대수 의원은 "지난해 9월에 비해 지난달 수산물 소비는 20%나 줄었지만, 해수부의 소비촉진 광고와 행사는 각 1건과 3건에 불과했다. 정부의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새누리당 이운룡 의원은 수산물의 방사능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수산물 유통 이력제를 내실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민주당 박민수 의원은 "일본산 수산물의 원산지 표시 위반이 전체 위반 중 41.3%나 되며, 이 중에 일본산이 국산으로 둔갑하는 경우는 62.7%나 되는 만큼 강력한 단속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국감에서는 수입 수산물의 원산지표시를 위반한 업체가 학교 급식에 납품하는 등 문제점이 드러났다. 민주당 김춘진의원은 "수산물 원산지 표시위반 업체 3곳이 부산과 충남, 전북의 64개 학교와 2개 유치원에 납품한 사실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부산지역 학교에 납품한 업체의 경우 올해 2월부터 5월까지 8개 학교에 30건, 금액으로는 1천만 원어치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대성·김종우 기자 nmaker@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