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역할 커질수록 현 지도부 입지 작아지나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여권 내 지각변동 불가피

재보궐선거 투표가 종료된 24일 오후 부산 영도구 새누리당 김무성 후보 선거사무실에서 김 후보가 당선이 유력해지자 지지자들의 환호에 손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 강선배 기자 ksun@

새누리당 부산 정치권과 서울 여의도 정가에 지각변동의 회오리가 몰아 닥쳤다. 예견된 결과였지만 4·24 재보선이 몰고온 후폭풍 때문이다.

일각에선 박근혜 대선캠프 총괄선대본부장을 지낸 김무성 의원의 당선을 '정치판의 나비효과'에 비유하는 사람들도 있다. 나비의 날개 짓같은 작은 변화가 폭풍우와 같은 커다란 변화를 유발시키는 것처럼 김 의원의 정계복귀를 정치권 대개편의 신호탄으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영도에서 시작된 새바람이 부산을 넘어 여의도 정가에 상륙했다는 지적도 많다.

'나 홀로 선거'로 승리
당 내 새 역할 주문 많아
차기 대표 출마 유력

"자기 목소리 낸다" 공언
청와대 태도 변화 예고

평소 의회주의자 자처
대야 관계에도 새 기류


먼저 집권당인 새누리당의 변화가 예고된다. 4·24 재보선 결과는 현 황우여 대표를 중심으로 한 새누리당의 '약체 지도부'에 경종을 울렸다.

이번 재보선은 겉으로 보기엔 집권세력이 이긴 것처럼 보이지만 정확하게 말하면 김 의원 개인의 승리이다. 김 의원은 선거 운동 내내 철저하게 '지역 중심'으로 치러겠다며 당 지도부의 지원유세를 철저히 거부했다. 현 지도부가 인기가 있었다면 거부할 이유가 없다. 새누리당 지도부는 서울 노원병과 충남 부여·청양에서도 사실상 '왕따' 취급을 받았다.

지금의 지도부는 정부조직법 개정안 처리와 정부 및 청와대 인사 때 힘 한번 제대로 쓰지 못했고 목소리 한번 내지 못했다. 수많은 고위직 인사가 도덕성과 자질문제로 낙마하면서 청와대의 '불통인사'가 도마위에 올랐지만 '꿀먹은 벙어리 처럼 지켜보고만 있었다. 정치권의 한 인사는 "새누리당이 '봉숭아 학당'으로 폄하된데는 현 지도부의 책임이 크다"고 말했다.

그렇다고 당장 김 의원이 전면에 나서지는 않을 방침이다. 그는 당선소감을 밝히면서 "한번도 당 대표 얘기를 꺼낸 적이 없다. 현 지도부가 정치력을 발휘해서 임기를 잘 마쳐 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당분간 지역에서 당선사례하면서 '국회의원 김무성'의 역할에 충실하겠다는 의미이다. 선거과정에서 밝힌 공약을 실천하는데도 주력할 방침이다.

하지만 '지도부'에 대한 불만이 많은 새누라당 의원들이 김 의원을 가만 놔둘 리가 없다.

새누리당 앞에는 원내대표 선거(5월), 재보선(10월), 국회의장 선거(내년 5월), 지방선거(내년 6월) 등 굵직한 현안들이 놓여 있다. 김 의원은 "국회와 당에서 제 역할을 찾겠다"고 했다.

당내 역학관계와 정치적 위상 등을 감안할때 김 의원이 5월 원내대표 선거에 영향력을 행사하지는 않을 전망이다. 10월 재보선때까지도 움직이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재보선에 잘못 개입했다가는 정치적으로 타격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연내 실시 가능성이 높은 차기 당대표 선거에는 출마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현 지도부로는 내년 지방선거를 치르기 힘들다는 지적이 팽배해 있기 때문이다.

새누리당을 대하던 청와대의 태도도 달라질 전망이다. 대선 이후 줄곧 무기력증에 시달려온 대다수 의원들이 청와대에 할 말 하는 당청 관계를 이끌 적임자를 찾고 있어 '김무성 역할론'이 대두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김 의원이 25일 "청와대와 사전 대화 통로를 만들겠다"고 밝혔듯이 당-청 간 중재자 역할을 하게 되고, 청와대도 새누리당의 입장을 이전보다 존중해주는 태도를 취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 의원이 복귀하면서 야당과의 관계도 상당한 변화를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카리스마'를 가진 중진이 없어 당내 위상에 심각한 상처를 받아온 부산·울산·경남 정치권에도 적잖은 변화가 예상된다.

권기택 기자 ktk@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