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지는 횟감이 아이라예, 왜냐고예? 지는 예 '애완어' 혹돔이라예"
부산 광안리 진로아파트 뒤 방파제횟집에서 5년째 '애완어'로 키우고 있는 자연산 혹돔. 손으로 머리를 만지면 가만히 있고 먹이를 던져주면 냉큼 헤엄쳐 와서 먹는다. 사람을 무서워하지 않고 잘 따르니 인기가 많다. 정종회 기자 jjh@광안리 진로아파트 뒤 방파제횟집에 들어서면 흠칫 놀랄 만한 광경이 펼쳐진다. 실내에 설치된 대형 수조 수면 위로 생뚱맞은 얼굴을 내밀고 사람을 빤히 쳐다보는 물고기 때문이다. 길이 50㎝의 제법 큰 자연산 혹돔이 그 주인공. 이마는 툭 튀어 나오고 주둥이는 긴 편인데 큰 몸집에 비해 눈은 단추구멍같이 작다. 그래서 몰골이 좀 우습다. 못 생겨도 너∼무 못 생겼다!
그런데 이놈이 '물건'이다. 사람이 다가가면 달아나기는커녕 물위로 떠올라 유유자적하는 품새가 예사롭지 않다. 손으로 머리를 쓰다듬어도 의젓하게 가만히 있다. 먹이를 던져주면 기다렸다는 듯 냉큼 헤엄쳐 와 받아먹는다. 잘 훈련된 돌고래처럼 행동하는 것이다. 먹이를 주지 않고 자꾸 건드리기만 하면 '씩씩' 하는 소리를 내며 물총을 쏘는 심술을 부리기도 한다.
그물에 걸려 횟집에 팔려왔지만 횟감용 수조에 함께 넣어져 애완용으로 키운 지 벌써 5년째다. '혹순이'라는 애칭까지 얻어 손님들의 귀여움을 독차지하고 있다. 독특한 외모 때문에 관상용으로 키우는 경우는 있어도 사람과 교감하는 애완용이 된 건 드문 사례다.
대체 자연산 생선이 횟집 수조에서 이토록 장기간 버텨온 생명력은 어디서 나온 것일까? 또 사람 손을 무서워하지 않고 살갑게 지내게 된 건 무슨 까닭일까? 못생겼지만 귀여운 '혹순이' 스토리를 들어보자.
"광안리 방파제횟집서 5년째 살고
귀여운 '혹순이'로 유명해요
이마에 혹 삐죽한 못난이지만
사람들 모두가 좋아해요
목욕탕식 수조서 호사 생활하며
혹시 쓰다듬어 줘도 괜찮아요"
■'나는 못난이다' 경연대회 나갈 정도
혹돔의 이마는 불룩하게 튀어나와 혹처럼 보인다. 그래서 혹돔으로 불린다. 이름과는 달리 '돔'은 아니고 농어목 놀래깃과에 속한다. 주로 암초지대에 산다. 튼튼한 이빨로 게와 새우 등 갑각류를 깨뜨려 먹기를 좋아한다. 다 자라면 몸 길이 1m에 무게가 15㎏ 정도가 되니 관상용이라해도 가정에서 키우기는 어렵고 아쿠아리움의 수족관 같은 데서 키운다.
지난 2011년 7월 부산아쿠리움은 못 생긴 어류 13종을 들여와 '가장 못 생긴' 고기를 뽑는 온라인 투표를 실시한 적이 있다. 이때 혹돔은 나폴레옹 피시, 삼세기, 괴도라치 등과 당당히 겨뤘지만 아쉽게도 지존에 등극하지는 못했다. 대신 '슈렉 물고기'라는 별명으로 이름을 떨치는 데 만족해야 했다. 여하튼 못 생긴 건 분명하다. 당시 들여온 혹돔 세 마리는 아직도 부산아쿠아리움에 전시되어 관람객들의 눈을 즐겁게 하고 있다.
부산아쿠아리움에 사는 혹돔들은 암초 틈에 들어가 꼼짝 않는 시간이 많다. 이 혹돔들을 돌보고 있는 양근복 아쿠아리스트는 "먹이를 주는 것 이외에는 혹돔들과 인위적인 관계를 맺지 않고 있고, 혹돔들도 대부분의 시간을 암초에 기대어 쉬기 때문에 사람과 직접 접촉하는 경우는 없다"고 설명했다. 부산아쿠아리움과 방파제횟집 수조에 사는 혹돔들이 사람을 대하는 행태가 대조적이다. 그 까닭은 뭘까?
![]() |
| 방파제횟집의 홍종관 사장이 실내 수조에서 유영하고 있는 혹돔의 머리를 쓰다듬고 있다. |
![]() | ||